티스토리 뷰
0. Grid layout은 부트스트랩의 기본적인 레이아웃 설계 도구이다.
0-1 grid layout은 무조건 .container안에 배치되어야 한다.
0-2 한 줄을 12로 나누어 필요한 만큼 배치를 한다.
0-3 값을 생략하면 나머지 공간을 공유하게 된다.
1. 기본적인 공간 설정
1-0 row, col class를 가지고 있다.
1-1 row는 하나의 행을 말하고 하나의 행안에 여러 개의 열이 배치된다.
1-2 열의 크기는 0번 항목의 12등분한 공간을 지정하여 설정한다. col-8 이면 8/12공간을 차지한다.
1-3 가장 기본적인 레이아웃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div class="container">
<div class="row">
<div class="col">
One of three columns
</div>
<div class="col">
One of three columns
</div>
<div class="col">
One of three columns
</div>
</div>
</div>
1-5 column의 공간설정에 대한 예시들이다.
<body>
<div class="display-2">Grid Basics</div>
<div class="container">
<h1>Demo with text</h1>
<div class="row">
<div class="col-8 bg-success text-white">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Commodi
dignissimos fugiat illo, quisquam tempora aut dicta similique nisi iure. Quam nemo laborum, asperiores cum
delectus magni est perferendis incidunt aliquam!</div>
<div class="col-4">
<div class="nav flex-column">
<a href="#" class="nav-link">Home</a>
<a href="#" class="nav-link">About</a>
<a href="#" class="nav-link">Contact</a>
<a href="#" class="nav-link">Product</a>
</div>
</div>
</div>
<div class="row border">
<div class="col bg-primary text-white" style="height: 200px;">First</div>
<div class="col bg-info text-white" style="height: 200px;">Second</div>
<div class="col bg-danger text-white" style="height: 200px;">Third</div>
<div class="col bg-warning text-white" style="height: 200px;">Fourth</div>
</div>
<div class="row border">
<div class="col bg-primary text-white" style="height: 200px;">First</div>
<div class="col bg-info text-white" style="height: 200px;">Second</div>
</div>
<h1>Custome Widths</h1>
<div class="row border">
<div class="col-4 bg-danger text-white" style="height: 200px;">4</div>
<div class="col-8 bg-info text-whilte" style="height: 200px;">8</div>
</div>
<div class="row border">
<div class="col bg-danger text-white" style="height: 200px;">2</div>
<div class="col-8 bg-info text-whilte" style="height: 200px;">8</div>
<div class="col bg-danger text-white" style="height: 200px;">2</div>
</div>
</div>
2. 반응형 설정은 Responsive breakpoint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2-1 .col-sm-8 이런 식의 설정을 사용한다.
2-1-1 이 경우 sm 이상의 width에 8/12의 공간을 사용하라는 의미다.
2-1-2 그리고 sm보다 작은 사이즈는 div block element 특성대로 12를 다 차지한다.
2-2 아래 50% 50%는 md 보다 작을 경우 두 컬럼은 전체 넓이를 다 차지하지만
2-2-1 md 이상 일 때 8:4 xl일 때 10:2의 비율로 변경된다.
2-3 두 번째 Responsive layout의 경우 기본 3:6:3인데 md보다 클경우 1:10:1로 변경된다.
2-4 마지막 블록은 3개의 column이 기본적으로 3개의 줄로 표시되지만 md보다 클 경우 2:6:4로 변경된다.
<div class="container">
<h1>50% 50%</h1>
<div class="row">
<div class="col-md-8 col-xl-10 border rounded">
<h1>Blog Post</h1>
<p>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Illum maxime neque ducimus veritatis a, minima dicta
doloremque incidunt pariatur, excepturi quas ipsam maiores vel sequi optio provident explicabo. Reiciendis,
dolorem.</p>
</div>
<div class="col-md-4 col-xl-2 bg-light">
<div class="nav">
<div class="nav-link">June 2020</div>
<div class="nav-link">July 2020</div>
<div class="nav-link">August 2020</div>
<div class="nav-link">September 2020</div>
<div class="nav-link">October 2020</div>
<div class="nav-link">November 2020</div>
</div>
</div>
</div>
<h4>Responsive Layout (3->1, 6->10, md)</h4>
<div class="row border" style="height: 200px;">
<div class="col-3 col-md-1 bg-info" style="height: 200px;"></div>
<div class="col-6 col-md 10 bg-success" style="height: 200px;"></div>
<div class="col-3 col-md-1 bg-info" style="height: 200px;"></div>
</div>
<h5>Responsive Layout (12->2,12->6,12->4 md)</h5>
<div class="row border" style="height: 100px;">
<div class="col-md-2 bg-info" style="height: 100px;"></div>
<div class="col-md 6 bg-success" style="height: 100px;"></div>
<div class="col-md-4 bg-info" style="height: 100px;"></div>
</div>
</div>
'Client Technologies > Boots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tstrap : jsp table List template (0) | 2020.06.07 |
---|---|
Bootstrap : jsp form input template (0) | 2020.06.07 |
Bootstrap : Responsive Breakpoint, Display (0) | 2020.06.02 |
Bootstrap : Alert (0) | 2020.06.01 |
BootStrap : Template (0) | 2020.06.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개발환경 참고
- AWS ARN 구조
- Immuability에 관한 설명
- 자바스크립트 멀티 비동기 함수 호출 참고
- WSDL 참고
- SOAP 컨슈머 참고
- MySql dump 사용법
- AWS Lambda with Addon
- NFC 드라이버 linux 설치
- electron IPC
- mifare classic 강의
- go module 관련 상세한 정보
- C 메모리 찍어보기
- C++ Addon 마이그레이션
- JAX WS Header 관련 stackoverflow
- SOAP Custom Header 설정 참고
- SOAP Custom Header
- SOAP BindingProvider
- dispatcher 사용하여 설정
- vagrant kvm으로 사용하기
- git fork, pull request to the …
- vagrant libvirt bridge network
- python, js의 async, await의 차이
- go JSON struct 생성
- Netflix Kinesis 활용 분석
- docker credential problem
- private subnet에서 outbound IP 확…
- 안드로이드 coroutine
- kotlin with, apply, also 등
- 안드로이드 초기로딩이 안되는 경우
- navigation 데이터 보내기
- 레이스 컨디션 navController
- raylib
- one-to-many
- 로그인
- 자바
- Security
- MYSQL
- 매핑
- one-to-one
- mapping
- Many-To-Many
- Validation
- hibernate
- 설정하기
- 스프링
- WebMvc
- 스프링부트
- spring boot
- RestTemplate
- Spring Security
- 외부파일
- form
- 상속
- Rest
- Angular
- 하이버네이트
- Spring
- login
- XML
- crud
- 설정
- 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