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 실행 파일이 PE 포멧이듯, 리눅스에는 ELF 포멧이 기본이다. 아래는 relocatable 파일(쉽게 말하면 오브젝트 파일)의 심볼테이블 (변수나 함수)를 링커에서 사용하는데 아래의 명령어들로 화면에 출력해 볼 수 있다. 1. readelf -s main.o리눅스에서는 대부분 오브젝트 파일을 elf 포멧으로 생성하므로 아래의 readelf를 사용할 수 있다.아래를 보면 section에 대한 정보가 나오지만 어떤 심볼이 어떤 섹센에 포함된지 이해하기 힘들다.buf, main이 global symbol 이다.swap, printf가 external 이다. global + UND 정의되지 않는 심볼Symbol table '.symtab' contains 8 entries: Num: Valu..

1. 종종 vi가 설치 되지 않는 debian 기반 옛날 이미지를 사용할 때가 있다.2. vi나 nano를 설치하려면 apt update, apt install vim 를 사용해야 하는데 repository 주소가 너무 옛날이라 error 뜨는 경우가 많다. 3. 이런 경우 echo를 사용하여 경로를 바꾸어 주면 된다.4. /etc/apt/sources.list 파일을 찾아서 경로에 들어간다.5. rm sources.list 해서 삭제를 하고 아래를 붙여 넣어 경로를 수정해 준다.echo deb http://archive.debian.org/debian/ stretch main contrib non-free >> sources.listecho deb http://archive.debian.org/deb..

해보면 다 아는 내용이겠지만 더 시간 절약되길 바래서 남긴다. Strapi는 콘텐츠를 쉽게 관리하는 용도로 개발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다. 설치시에는 기본적으로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데 나중에 mysql이나 postgresql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하면, '자동으로 이미 만들어진 데이터까지 스키마 생성을 하면서 같이 복사한다.' 사실 이것이 전부이다. 개발자들이 의문이 생기는 지점이 기본 sqlite에서 mysql 이나 postgresql로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인데, '해답은 설정을 바꾸고 접속하면 알아서 데이터 복사까지 해준다' 이것이 답이다. 아래는 쓴 김에 절차를 추가한다. 절차는 아래 링크에 잘 나와 있다. Database | Strapi Documentation Strap..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개발환경 참고
- AWS ARN 구조
- Immuability에 관한 설명
- 자바스크립트 멀티 비동기 함수 호출 참고
- WSDL 참고
- SOAP 컨슈머 참고
- MySql dump 사용법
- AWS Lambda with Addon
- NFC 드라이버 linux 설치
- electron IPC
- mifare classic 강의
- go module 관련 상세한 정보
- C 메모리 찍어보기
- C++ Addon 마이그레이션
- JAX WS Header 관련 stackoverflow
- SOAP Custom Header 설정 참고
- SOAP Custom Header
- SOAP BindingProvider
- dispatcher 사용하여 설정
- vagrant kvm으로 사용하기
- git fork, pull request to the …
- vagrant libvirt bridge network
- python, js의 async, await의 차이
- go JSON struct 생성
- Netflix Kinesis 활용 분석
- docker credential problem
- private subnet에서 outbound IP 확…
- 안드로이드 coroutine
- kotlin with, apply, also 등
- 안드로이드 초기로딩이 안되는 경우
- navigation 데이터 보내기
- 레이스 컨디션 navController
- raylib
- 설정
- Spring Security
- spring boot
- jsp
- MYSQL
- 상속
- 로그인
- Angular
- mapping
- 외부파일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Spring
- one-to-many
- 자바
- XML
- Security
- Many-To-Many
- Validation
- 하이버네이트
- WebMvc
- one-to-one
- hibernate
- RestTemplate
- crud
- Rest
- login
- form
- 설정하기
- 매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