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래 링크는 개인 홈페이지에 각 쇼핑몰 판매량를 트레킹해서 만든 저렴한 딜 정보 모음페이지이다. 뽐뿌 같은 핫딜 사이트 가기 번거로워서 만들었는데, 고물과 시대에 아무 생각없이 사용하기 좋은 것 같다. 실시간 기반이고 go와 headless 베이스라 속도가 빠르다.
광고 맞다. ㅜㅠ
Best Price
할인가 2,205,900 2,451,000 (10% off)
bestprice.pilseong.net
1. Bootstrap에서는 Bulma처럼 image placeholder를 지원하지 않는다.
1-1 아래의 bulma에 있는 주소를 쓰면 된다.
https://bulma.io/images/placeholders/1280x960.png
https://bulma.io/images/placeholders/96x96.png
2. 이 포스팅의 주제인 Card component의 이미지를 고정비율로 삽입하는 방법이다.
2-1 Bulma의 경우는 다양한 크기의 image를 고정시킬 수 있다.
2-2 image is-128x128, image is-4by3같은class element를 제공한다.
Bulma: Free, open source, and modern CSS framework based on Flexbox
Bulma is a free, open source CSS framework based on Flexbox and built with Sass. It's 100% responsive, fully modular, and available for free.
bulma.io
2-3 Bootstrap은 이런 기능이 없다.
2-3-1 이런 기능을 구현하려면 Bootstrap의 Embed utility를 사용하면 된다.
2-3-2 div에 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4by3 같이 비율을 설정하고
2-3-3 img element의 class에 embed-responsive-item을 지정하면 된다.
<div class="container">
<div class="card-deck">
<div class="card" *ngFor="let item of cards">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4by3">
<img src="{{ item.imageUrl }}" class="card-img-top embed-responsive-item" alt="tree">
</div>
<div class="card-body">
<h5 class="card-title">{{ item.title }}</h5>
<h5 class="card-subtitle">{{ item.subtitle }}</h5>
<p class="card-text mt-3">{{ item.text }}</p>
</div>
</div>
</div>
</div>
2-3-4 결과는 아래와 같이 사진의 비율이 각기 달라도 비율이 동일한 4:3의 비율로 들어간다.
3. 보통 iframe, embed, vide, object에 사용되나 img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21:9 aspect ratio -->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21by9">
<iframe class="embed-responsive-item" src="..."></iframe>
</div>
<!-- 16:9 aspect ratio -->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16by9">
<iframe class="embed-responsive-item" src="..."></iframe>
</div>
<!-- 4:3 aspect ratio -->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4by3">
<iframe class="embed-responsive-item" src="..."></iframe>
</div>
<!-- 1:1 aspect ratio -->
<div class="embed-responsive embed-responsive-1by1">
<iframe class="embed-responsive-item" src="..."></iframe>
</div>
'Client Technologies > Bootst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tstrap : jsp form input template (0) | 2020.06.07 |
---|---|
Bootstrap : Grid Layout (0) | 2020.06.02 |
Bootstrap : Responsive Breakpoint, Display (0) | 2020.06.02 |
Bootstrap : Alert (0) | 2020.06.01 |
BootStrap : Template (0) | 2020.06.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커 개발환경 참고
- AWS ARN 구조
- Immuability에 관한 설명
- 자바스크립트 멀티 비동기 함수 호출 참고
- WSDL 참고
- SOAP 컨슈머 참고
- MySql dump 사용법
- AWS Lambda with Addon
- NFC 드라이버 linux 설치
- electron IPC
- mifare classic 강의
- go module 관련 상세한 정보
- C 메모리 찍어보기
- C++ Addon 마이그레이션
- JAX WS Header 관련 stackoverflow
- SOAP Custom Header 설정 참고
- SOAP Custom Header
- SOAP BindingProvider
- dispatcher 사용하여 설정
- vagrant kvm으로 사용하기
- git fork, pull request to the …
- vagrant libvirt bridge network
- python, js의 async, await의 차이
- go JSON struct 생성
- Netflix Kinesis 활용 분석
- docker credential problem
- private subnet에서 outbound IP 확…
- 안드로이드 coroutine
- kotlin with, apply, also 등
- 안드로이드 초기로딩이 안되는 경우
- navigation 데이터 보내기
- 레이스 컨디션 navController
- raylib
- one-to-one
- 자바
- 스프링
- mapping
- 매핑
- spring boot
- Validation
- Security
- 설정하기
- Spring Security
- Angular
- jsp
- form
- 하이버네이트
- 로그인
- RestTemplate
- one-to-many
- 스프링부트
- Rest
- Spring
- crud
- WebMvc
- hibernate
- 설정
- MYSQL
- 외부파일
- login
- XML
- 상속
- Many-To-Many